▲검증대상
-문재인 대통령은 7월 24일 오전 국무회의에서 "폭염으로 인해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것에 대한 우려가 나온다"며 "원전 가동 사항에 대해 터무니없이 왜곡하는 주장도 있다"고 발언. 문 대통령은 또 "산업통상자원부가 전체적인 전력수급계획과 전망, 그리고 대책에 대해 소상히 국민께 밝혀달라"고 지시. 대통령의 발언은 원전 재가동이 전력 부족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당초 예정된 일정에 따른 것인데도 언론이 이를 왜곡했다는 의미
▲검증방식
1. 산업통산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원전 정비 줄여 공급 늘리겠다고 주장
-산업부는 7월 5일 '하계 전력수급 대책' 보고에서 "공급 능력은 원전 정비 감소에 따라 작년 여름 대비 572만kW 증가한 1억71만kW로 전망된다"며 "역대 최대의 공급 여력을 확보해 안정적인 전력 수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음.
-한수원도 7월 22일 "현재 정지 중인 한빛 3호기, 한울 2호기 등 원전 2기를 전력 피크 기간(8월 2~3주차) 이전에 재가동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한빛 1호기와 한울 1호기의 정비 착수 시기는 전력 피크 기간 이후로 조정했다"고 밝힘.
2. 산업부와 한수원의 뒤늦은 해명
-언론이 '탈원전 정부가 원전에 의존한다'고 비판하자 7월 23일 산업부와 한수원은 뒤늦게 "이 같은 정비 계획은 4월에 이미 마련된 것"이고 해명.
▲종합판단
-산업부와 한수원은 7월 5일과 22일 원전 정비를 줄이거나 재가동으로 전력 공급을 늘리겠다고 밝혔음. 다만 7월 23일 뒤늦게 정비 계획이 4월에 이미 마련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의혹이 말끔하게 해소되지 않았음. 따라서 전후 사정을 보면 문 대통령의 "원전 가동 사항에 대해 터무니없이 왜곡하는 주장도 있다"는 발언은 대체로 사실이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