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증대상]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 농장이 41곳으로 늘었지만 정부는 "계란, 닭고기 오리고기 공급에 문제가 없다
[검증방법]
농림식품부 관계자, 통계청
[검증내용]
1. 식품부 관계자는 "2018년 초부터 생산량이 증가해 육계와 오리고기 냉동 재고가 평년보다 38.9%, 73.6%씩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평년 대비 줄었지만 감소 폭은 2.0%에 그쳤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계청에 따르면 육류에 대한 가구당 평균 소비지출은 지난해 2분기와 3분기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3.3%, 28.5% 증가했다. 겨울에 한 번 발생하면 다음 해 3월까지 이어지곤 했던 AI 특성상 안심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특히 코로나19로 치킨 등 배달음식, 가정 내 고기 소비가 늘어나면서 닭고기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3. 그밖에 지난해 육계 살처분 규모가 과거 사례에 비해 컸다는 점, AI 발생에도 닭고기 소비 기피 현상이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점 등도 가격 상승 요인으로 꼽힌다. 계란 역시 산란계 규모가 평년 대비 줄었고, 가정 내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가격 상승 우려가 있다. 수급 불안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농식품부 관계자는 "수급 불안 우려가 있는 품목에 대해 생산자단체, 유통업계 등과 긴밀히 협조해 대응해 나갈 계획" 이라고 밝혔다.
[검증결과]
절반의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