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증대상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에 '정부가 1,442명의 유럽 입국자에게 2주간 호텔격리비를 제공하고 확진시에 400만원 가량의 진료비를 부담한다'는 내용이 올라왔습니다. 해당 주장은 '자국민한테는 돈 받는다', '외국인 퍼주기다'라는 내용과 함께, 수많은 외국인에게 무료로 격리비, 치료비를 지원한다는 취지로 공유됐습니다. 사실인지 검증했습니다.

관련 트위터 캡쳐
▲ 검증내용
질병관리본부 확인 결과 '1,442명'은 3월 22일 유럽에서 출발했거나 최초 유럽에서 탑승해 항공편을 타고 국내로 입국한 전체 입국자 수입니다. 유럽발 항공편 6편 기준, 내국인은 92%, 외국인은 8%에 불과했습니다.

3월 23일 질병관리본부 브리핑 자료
'2주간 호텔 등지에 격리'도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호텔이나 정부 주도 시설에서 격리한 기간은 하루, 이틀이었습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3월 29일 브리핑에서 2주간 호텔 격리 질문에 대해 "검체를 채취하고 검사를 진행하는데는 적어도 6시간 이상의 검사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유증상자들은 검사 결과를 확인할 때까지는 대기를 위해서 임시격리시설에서 하루 내지는 이틀 정도의 숙박을 하시게 됩니다"라고 밝혔습니다.

3월 29일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 질의응답
다만 4월 1일부터는 정책이 바뀌었습니다. 유럽에서 온 입국자의 경우 진단과 치료가 무료입니다. 미국 등 다른 곳에서 온 외국인이 무증상인데도 검사받으려면 돈을 내야 합니다. 한국 외 국가에서 국내로 입국한 사람은 모두 14일 동안 의무로 자가격리를 해야합니다. 생활비 지원은 안 되며 자가격리 시설에 머물 시 시설이용료를 내야합니다.
▲ 검증결과
정부가 4월 이전에 유럽 입국자에게 격리비를 지원하고 확진시 진료비를 부담한 건 맞습니다. 하지만 이는 외국인뿐 아니라 내국인에게도 공통적으로 적용된 정책입니다. 특히 유럽 입국자 1,442명 중 90% 넘는 사람이 내국인이었고, 호텔 격리 2주도 하루, 이틀에 불과했습니다. '정부가 1,442명의 유럽 입국자에게 2주간 호텔격리비를 제공하고 확진시에 400만원 가량의 진료비를 부담한다'라는 주장은 대체로 사실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