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증대상]
청와대는 2분기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브리핑에서 하위 20% 가구 전체 소득이 증가세로 돌아서고, 전체 가구 소득이 늘어난 점을 들어 "상당한 개선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호승 경제수석은 2분기 소득 양극화지표가 나빠진 원인으로 '고령화'를 지목했다.
[검증 방식]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와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의 해당 조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검증.
[검증 내용]
청와대 발표대로 하위 20% 가구의 전체소득(금로/사업/이전소득 등 모두 포함)은 0.04%p 늘어났다. 미미하지만 증가 자체는 팩트다.
하지만 하위 20% 가구의 근로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15.3% 줄어든 43만 8700원에 그쳤다. 개선됐다고 보기 힘들다.
1분위 가구 소득이 고령화로 감소되는 형상은 2011년부터 지난 해까지 발생한 현상이다. 올해는 노인 공공 일자리 사업이 본격화 돼 상황이 달라졌다.
올해 2분기 노인가구(60세 이상)의 근로소득(163만 6020원)과 이전소득(108만 950원)은 모두 최근 10년 이래 최대치다.
경기 악화로 사업소득은 최근 2년간 계속 줄었지만, 노인 일자리 사업과 복지 확대로 근로·이전소득만큼은 는 것이다.
전국 10만여명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한 노인 일자리 사업은 올 7월 노인 고용률(42.9%)과 경제활동참가율(44.1%)도 빠르게 높였다.
이 때문에 소주성특위는 지난 22일 보고서에 "올해 1분기 하위 20% 계층에 근로소득이 있는 가구가 늘었는데, 고령 근로가구가 늘어난 것이 이 중 3분의 2 이상에 달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특위에 따르면 가계소득 분석 대상을 기존 2인 가구에서 1인 가구 이상으로 넓힌 결과, 올해 1분기 하위 20% 가구 근로소득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7% 늘어난 10만7000원을 기록했다.
[검증 결과]
1분위 가구의 전체소득이 0.04%p 늘었지만 미미한 수준이며, 근로소득은 15%나 감소했기 때문에 소득이 개선됐다고 보기 힘들다.
2010년대 들어 '고령화'가 소득 양극화의 원인으로 지목돼 왔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 노인 일자리 사업이 증가하고 경제활동 참여율이 늘어나는 등 노인가구의 근로소득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청와대의 주장은 '대체로 거짓'이라 볼 수 있다.
나랏돈 써 노인 소득·고용 늘렸는데, 분배 악화가 고령화 탓?
근거자료 1
: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근거자료 2
: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회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