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로그인
|
회원가입
메뉴버튼
분야별 검증
전체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IT/과학
기타
교차검증 누적 횟수 순
4.15 총선
코로나19
19대 대선
리포트
동향 리포트
국내외 법제동향
팩트체크 기관 사례
국내외 세미나
관련 논문 및 보고서
관련 뉴스 기사
팩트체크 제안
ABOUT
SNU팩트체크
SNUFactCheck
공지사항
미디어에 비친 SNU팩트체크
검색
공지사항
HOME
>
ABOUT
>
공지사항
제목
날짜
2021년도 상반기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 공고(1.13 ~ 3.2)
2021.01.13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 FAQ
2021.01.12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 역대 선정작 (6차)
2021.01.08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 역대 선정작 (4~5차)
2021.01.08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 역대 선정작 (1~3차)
2021.01.08
제7기 팩트체킹 인턴십 참가자 모집(한국언론학회-SNU팩트체크센터 공동)
2021.01.04
제1회 「SNU 팩트체크 우수상」 수상작 발표
2020.12.15
2020 하반기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 사업」선정 발표
2020.09.18
2020 KPF-SNU팩트체크센터 공동 [팩트체크 디플로마] 과정 참가 신청 안내
2020.08.19
한국언론학회-SNU팩트체크 공동 '제6기 팩트체킹 인턴십' 최종 합격자 공고
2020.08.13
제6기 팩트체킹 인턴십 서류전형 합격자 공고(한국언론학회-SNU팩트체크 공동)
2020.08.10
2020년도 하반기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 공고(7.27 ~ 8.21)
2020.07.27
제6기 팩트체킹 인턴십 참가자 모집(한국언론학회-SNU팩트체크센터 공동)
2020.07.22
2019 IFCN-SNUFactChceck 공동 Fact-Checking Workshop 스케치
2020.05.04
한국언론학회와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제3회 한국팩트체크대상 시상식 열려
2020.04.30
2020 상반기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 사업」선정 발표
2020.03.19
제3회 한국팩트체크대상 수상작 발표
2020.03.13
한국언론학회-SNU팩트체크 공동 '제5기 팩트체킹 인턴십' 최종 합격자 공고
2020.02.12
제5기 팩트체킹 인턴십 서류전형 합격자 공고(한국언론학회-SNU팩트체크 공동)
2020.02.07
제5기 팩트체킹 인턴십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일 변경
2020.02.06
제 3회 한국팩트체크대상 공고
2020.02.06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법
2020.02.03
2020년도 상반기 팩트체킹 취재보도 지원사업 공고(1.28 ~ 2.21)
2020.01.28
제5기 팩트체킹 인턴십 참가자 모집(한국언론학회-SNU팩트체크센터 공동)
2020.01.14
제3회 팩트체크 디플로마 과정 선발 결과 공고 (한국언론학회-SNU팩트체크 공동)
2019.11.25
1
2
3
언론사 배너를 클릭하시면, 해당 언론사가 검증한 팩트를 보실 수 있습니다.
공유하기
공유하기
URL 복사
닫기
×
SNU팩트체크는 이렇게 운용됩니다.
팩트체크할 주제는 누가 정하나요?
홈페이지에 올라오는 팩트체크는 각 언론사가 자율적으로 정합니다. 검증내용 역시 각 언론사가 독립적으로 취재한 결과입니다.
SNU팩트체크 서비스에서 서울대학교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SNU팩트체크의 모체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는 각 언론사가 팩트체크한 내용을 게시할 수 있는 플랫폼만을 제공합니다. 팩트체크 대상의 선정, 취재, 보도, 검증결과에 대한 판정에 서울대학교는 일절 관여하지 않습니다.
참여 언론사는 누가 정하나요?
언론중재법 제2조 1항의 “언론“에 해당하는 방송 신문 잡지 등 정기간행물 뉴스통신 및 인터넷 신문 중 제휴를 신청하면 팩트체크 위원회가 활동내역을 참고하여 의결합니다.
서로 반박이 되는 팩트체크가 가능한가요?
네. 하나의 팩트에 대해 여러 언론사가 복수로 팩트체크 할 수 있습니다. 팩트체크는 복수의 언론사들이 참여하는 교차검증을 통해 사실성 판단의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고자 합니다.
×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법
정보의 출처를 확인합시다.
혹시 이름만 유사한 기관들을 사칭하고 있지 않나요?
저자를 확인할 수 있나요?
저자의 이름이 있다면 이 사람이 과거에는 어떤 글을 게시했는지, 실재하는 인물인지 확인해 봅시다.
언제, 어디서 만들어진 것인지 알 수 있나요?
동영상, 사진에서 발생시간, 장소를 분명히 알 수 없다면 의심해야 합니다.
다른 정보를 추가적으로 찾아보았습니까?
내가 지금 보고 있는 정보를 신뢰할 수 있는 다른 기관에서도 다루었나요?
정보가 과도한 불안을 줍니까?
허위정보들은 공격대상의 신뢰를 떨어뜨리기 위해 이런 감정을 부추깁니다.
출처: 유럽위원회, FIRST DRAFT
자세히 보기>>